위험물

위험물 - 화재의 분류 및 특성

소방학생 2023. 7. 8. 17:58
728x90

 

 

  화재의 등급과 종류

 

구분 종류 소화기 표시
일반화재 A급 백색
유류화재 B급 황색
전기화재 C급 청색
금속화재 D급 무색

 

 

  A급 화재

 

종이, 나무 등과 같이 타고 나서 재가 남는 일반화재이다.

 

  ㉮ 소화대책 : 물을 이용한 냉각소화 또는 분말소화약제를 사용한다.

 

  ㉯ 특징 : 가연물질이 폭넓게 존재하므로 화재발생 건수가 많다.

 

 

  B급 화재

 

타고 나서 재가 남지 않는 유류(휘발유, 경유, 알코올 등) 및 가스화재이다.

 

  ㉮ 소화대책 : 공기를 차단시켜 질식소화한다. 포소화약제를 이용하거나 할로겐화합물, 이산화탄소, 분말소화약제 등을 사용한다.

 

  ㉯ 특징 : 연소열이 크고 연소성이 좋기 때문에 일반화재보다 위험하다.

 

 

  C급 화재

 

전기설비에서 일어나는 전기화재이다.

 

  ㉮ 소화대책 : 이산화탄소(CO2), 할로겐화합물, 분말소화약제 등을 사용한다.

  

  ㉯ 특징 : 최근 화재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증가추세이다.

 

 

  D급 화재

 

금속물질에 의한 화재이다.

 

  ㉮ 마그네슘, 리튬, 나트륨과 같은 가연성 금속의 화재이다.

 

  ㉯ 주수소화 시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소화대책 : 팽창질석, 팽창진주암, 마른모래 등을 사용한다.

                           ( 물과 반응하여 폭발성 가스인 수소를 생성하므로 물에 의한 냉각소화는 금지)

 

 

 

 

 

 

※ PC 버전으로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