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 - 무기과산화물
무기과산화물 (50kg / 위험등급 Ⅰ)
무기과산화물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은 물과 접촉하여 발열과 함께 산소가스를 발생하므로 주수소화가 적합하지 못하고
(다른 제1류 위험물은 주수소화가 일반적이다) 마른모래, 암분, 탄산수소염류 분말소화제 등을 사용한다.
① 과산화나트륨 (Na2O2)
㉮ 융점은 460℃ 이고, 순수한 것은 백색의 정방정계 분말이다.
㉯ 일반적인 것은 황백색의 정방정계 분말로 에틸알코올(에탄올)에 잘 녹지 않는다.
㉰ 가연물과 혼합되어 있는 경우 마찰 또는 약간의 물의 접촉으로 발화한다.
㉱ 반응식
· 물과 반응식
2Na2O2 + 2H2O → 4NaOH(수산화나트륨) + O2(산소)
· 가열분해 반응식
2Na2O2 → 2Na2O(산화나트륨) + O2(산소)
· 탄산가스와 반응식
2Na2O2 + 2CO2 → 2Na2CO3(탄산나트륨) + O2(산소)
· 염산과 반응식
Na2O2 + 2HCl → 2NaCl(염화나트륨) + H2O2(과산화수소)
· 초산과 반응식
Na2O2 + 2CH3COOH → 2CH3COONa(초산나트륨) + H2O2(과산화수소)
② 과산화칼륨 (K2O2)
㉮ 무색 또는 오렌지색의 비정계 분말로 피부와 접촉 시 부식시킨다.
㉯ 공기 중에서 탄산가스를 흡수하여 탄산염이 된다.
㉰ 에틸알코올(에탄올)에 용해되고, 양이 많을 경우 주수에 의하여 폭발 위험이 있다.
㉱ 가연물과 혼합되어 있는 경우 마찰 또는 약간의 물의 접촉으로 발화한다.
㉲ 반응식
· 물과 반응식
2K2O2 + 2H2O → 4KOH(수산화칼륨) + O2(산소)
· 가열분해 반응식
2K2O2 → 2K2O(산화칼륨) + O2(산소)
· 탄산가스와 반응식
2K2O2 + 2CO2 → 2K2CO3(탄산칼륨) + O2(산소)
· 염산과 반응식
K2O2 + 2HCl → 2KCl(염화칼륨) + H2O2(과산화수소)
· 초산과 반응식
K2O2 + 2CH3COOH → 2CH3COOK(초산칼륨) + H2O2(과산화수소)
③ 과산화바륨 (BaO2)
㉮ 비점 및 융점은 450℃ 이고, 백색의 정방정계 분말로 알칼리토금속의 과산화물 중 제일 안정하다.
㉯ 냉수에 약간 녹고, 더운물에서 분해하여 산소를 발생한다.
㉰ 소화방법은 마른모래를 사용한다.
㉱ 반응식
· 온수와 반응식
2BaO2 + 2H2O → 2Ba(OH)2 (수산화바륨) + O2(산소)
· 가열분해 반응식
2BaO2 → 2BaO(산화바륨) + O2(산소)
· 탄산가스와 반응식
2BaO2 + 2CO2 → 2BaCO3(탄산바륨) + O2(산소)
· 산과 반응식
BaO2 + H2SO4 → BaSO4(황산바륨) + H2O2(과산화수소)
[예제문제 1]
다음 중 주수소화를 하면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은?
① 과산화칼륨 ② 과망가니즈산칼륨 ③ 과염소산칼륨 ④ 브로민산칼륨
[예제문제 2]
과산화나트륨이 물과 반응하면 어떤 물질과 산소를 발생하는가?
① 수산화나트륨
② 수산화칼륨
③ 질산나트륨
④ 아염소산나트륨
[예제문제 3]
과산화바륨과 물이 반응하였을 때 발생하는 것은?
① 수소
② 산소
③ 탄산가스
④ 수성가스
정답 : ①, ①,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