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약제화학

화재와 소화

소방학생 2023. 3. 13. 22:40
728x90

 

 

화재

 

 

Ⅰ.  화재의 개요

 

    정의 : 화재란 사람의 의도(실화)에 반하거나 고의(방화)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                   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

 

 

Ⅱ. 가연물의 성상에 따른 분류

 

   A급 화재 : 일반화재로서 연소 후 재를 남긴다. 연기색은 백색, 활성화 에너지가 높다. 발열량은 낮으며 물로 인한 소화가 가능하다.

 

    B급 화재 : 유류화재로서 연소 후 재를 남기지 않는다. 연기색은 흑색이며 활성화 에너지가 낮다. 발열량은 높고 물로 인한 소화가 불                         가능하다.

 

    C급 화재 : 전기화재로서 전기에너지가 발화원으로 작용하는 화재가 아니라 전류가 있는 전기 설비에서 불이 나면 전부 전기화재다.

    C급 화재의 발생원인이 아닌 것 : 절연 저항의 증가

                                                                단선(선이 끊어진 것)(반단선은 전기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역기전력

                                                                승압(전압을 올리는 것)

 

    D급 화재 : 금속화재로서 화재가 일어나는 빈도가 제일 낮으며 물로 인한 소화가 불가능하다.

   

    E급 화재 : 가스화재로서 압축가스와 액화가스(탄산가스), 용해가스(아세틸렌)등이 있다. B급화재인 유류화재와 동일하게 소화성능                         을 적용할 수 있다.

 

구분 A급 B급 C급 D급 E급
종류 일반 유류 전기 금속 가스
색깔
연기색 - - -

 

 

Ⅲ. 기타화재

 

    A, B, C, D, E급 화재에 포함되지 않은 것들을 기타화재라 하는데 산림화재와 식용유화재, 지하구화재, 초고층 건축물화재, 훈소화재     등이 있다.

 

  • 식용유화재

    ① 미국은 K 또는 F급이라 부르고 우리나라에서는 K급이라 불린다.     ②유류화재에 포함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식용유는 일반 기름이랑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③재발화의 위험성이 높다. (발화점이 비점보다 낮기 때문이다)    ④소화할 때는 비누와 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1종 분말을 써야 한다. 비누거품을 만들기 때문에 식용유의 온도가 아무리 높아져               도 산소와 맡닿지 않아서 소화 효과가 뛰어나다.

 

  • 지하구화재

   전력통신용전선이나 가스 냉난방용배관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집합수용하기 위하여 설치한 지하공존물로서 폭이 1.8m, 높이 2m,      길이가 50m 이상(전력통신사업용인 경우 500m 이상)의 규격을 충족하는 것을 전부 지하구라 부른다.

 

  • 초고층건축물화재

    층수가 50층 이상 혹은 높이가 200m 이상의 건축물이다. 피난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피난을 고려해야 한다.

 

  • 훈소화재

    훈소의 정의 : 가연물이 열 분해에 의하여 가연성가스를 발생시켰을 때 공간의 밀폐로 산소량이 부족하거나 바람에 의해 농도가 현                                저히 저하되는 경우, 다량의 연기를 내며 고체표면에서 발생하는 매우 느린 연소과정으로서 무염착화에서 발염착화가                              되기 전까지의 상태를 훈소라 부른다.

 

    훈소의 특징

    ①훈소의 진행속도는 0.001~0.01 cm/sc이다(굉장히 느리다는 뜻이다).

    ②내부에서는 백열연소하고 있다는 점에서 표면연소와 같다.

    ③불꽃연소에 비해 온도가 낮으며 발연량(연기의 발생량)이 높다.

    ④눌러붙는 냄새가 난다.

    ⑤연소속도가 늦고 연쇄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⑥연기의 입자가 크며 다량의 액체미립자를 포함하고 있다.

    ⑦연기는 시안화수소 등과 같은 맹독성가스가 포함되어 있다.

 

    표면연소와 훈소의 공통점 : 불꽃이 없는 무염연소 형태이고 연쇄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부촉매소화가 없다.

 

 

 

 

 

소화

 

 

Ⅰ. 소화의 개관

 

제거요소 가연물 산소 점화원 연쇄반응
소화원리 제거소화 질식소화 냉각소화 부촉매소화

 

 

Ⅱ. 기본적 소화원리

 

  • 질식소화

    정의 : 공기중의 산소가 21% → 15% 로 감소시켜 소화한다.

 

    특징 : ① 공기를 차단하는 방법(이불, 담요 등으로 덮어서 차단)

               ② 가스계소화약제처럼 수증기 등을 첨가하여 산소농도를 떨어트리는 방법

               <5류 위험물은 자기연소성 물질이라서 산소농도를 아무리 낮춰도 질식소화가 불가능하다>

 

    최소산소농도(M.O.C) : 화염이 전파되기 위해서는 각 물질마다 최소한의 산소가 요구되는데 이런 것을 최소산소농도라 한다.

 

    한계산소지수(L.O.I) : ① 가연물을 수직으로 한 상태에서 가장 윗부분에 점화하여 연소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최저산소농도를 한계                                                   산소지수라 한다.

                                            ② 방염이나 난연성의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게 L.O.I이다.

                        

    

  • 제거소화

    정의 : 연소의 3요소 또는 4요소를 구성하는 가연물질을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키거나 점화원이 없는 장소로 신속하게 제거하여 소                   화 하는 것.

 

    제거소화의 예 : ① 전기제품의 전기공급을 차단하는 것.

                                 ② 대형유류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폭발물을 설치하고 그 후폭풍으로 소화가 이루어지는 소화

                                 ③ 산림화재 시 벌목하는 것.

                                 ④ 양초(파라핀)를 입으로 불어서 가연성가스를 날아가게 하는 것.

 

 

  • 냉각소화

    정의 : 점화원을 이용한 소화 원리로서 연소 중 가연물질의 온도를 발화점(인화점도 상관X)이하로 냉각시켜 소화하는 것

 

    특징 : 아레니우스 방정식(냉각소화와 가깝다 정도로만 외우기)

 

 

  • 부촉매소화

    정의 : 가연물질을 연속적인 연쇄반응에 진행되지 않도록 부촉매를 사용하여 연소현상인 화재를 소화시키는 방법, 화학소화라고도                   부른다.

 

    특징 : ① 부촉매소화 → 암모늄이온(NH4+), 칼륨이온(K+), 나트륨이온(Na+), 할로겐원소(F, Cl, Br, I) 를 가지고 있을 때만 부촉매                         소화를 할 수 있다.

               ② 부촉매는 정촉매 역할의 반대역할로서 활성화 에너지를 크게 한다(화재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그럼으로서 가연물질의 연                      속적인 연쇄반응을 억제하여 화염이 형성되는 라디칼(Radical)을 없앰으로서 소화한다.

               ③ 표면연소, 무염연소하는 물질은 연쇄반응이 없어 부촉매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④ 부촉매소화를 일으킬 수 있는 소화약제 : 분말, 할론(할로겐 원소를 가지고 있음),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강화액

 

 

 

 

 

※PC버전으로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