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통도 (2) 썸네일형 리스트형 할론소화설비(1) - 종류, 저장용기, 소화약제, 저장량 개요 할론소화설비의 주요 구성요소는 이산화탄소소화설비와 거의 유사하며 약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할론 소화약제 를 사용하여 화재의 연소반응을 억제함으로서 소화하는 설비로서 본 소화약제는 당초 항공기 엔진의 화재를 소화할 목적으로 개발 되었다. 할론소화약제란 지방족 포화탄화수소의 분자 중에 존재하는 수소원자들 중 하나 이상의 할로겐족 원소 F(불소), Cl(염소), Br(브롬), I(요오드)와 치환되어 생성된 물질 중 현실적으로 소화약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총칭하는 것을 말한다. 법령상 소화약제로 인정되는 것은 할론 1301, 할론 1211, 할론 2402의 3종류가 있다. (1) 할론소화설비의 소화원리 연소의 4요소 중 하나인 연쇄반응이란 화재 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OH+, H+ 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1) 포소화약제에 이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요를 시작으로 용어 정리, 장단점, 계통도를 통해 작동원리를 다뤄 볼 예정입니다. 개요 이산화탄소(CO2)소화설비는 스프링클러설비나 포소화설비 등 물에 의한 피해가 예상되는 장소나 전기화재, 유류화재, 일반화재 등에 사용된다. 화학적으로 안정된 소화약제이므로 약제의 변질이 없고, 한 번 설치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복잡하고 입체적인 구조물의 대상물이라도 침투성이 강해 심층부까지 파고들어 완전소화가 된다. A급화재(일반화재), B급화재(유류화재), C급화재(전기화재) 등에 유효하며 소화 후에도 잔유물이 남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잔유물이 남지 않는다는 말은 증거 보존이 용이하다는 뜻이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화재의 3요소인 가연물..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