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61)
제2류 위험물(가연성 고체) - 유황, 마그네슘, 철분 유황 (S, 100kg / 위험등급 Ⅰ) 순도 60% 미만의 것은 위험물에서 제외한다. ① 사방정계 ㉮ 인화점은 207℃, 착화점은 232.2℃, 융점은 119℃, 비중은 2.07이다. ㉯ 산화제, 목탄가루와 혼합되었을 때 약간의 충격·가열로 착화폭발한다. ㉰ 물에 녹지 않고 이황화탄소(CS2)에 녹는다. 전기의 불량도체이다. ② 단사정계 ㉮ 비중은 1.96이다. ㉯ 사방정계의 황을 95.5℃로 가열하여 얻는다. ㉰ 물에 녹지 않고 이황화탄소(CS2)에 녹는다. ㉱ 160℃ 에서 갈색, 250℃ 에서는 흑색으로 불투명하게 되며 유동성을 갖는다. ③ 비정계 ㉮ 용융황을 물에 넣어 급랭시킨 것이다. ㉯ 물, 이황화탄소(CS2)에 녹지 않는다. ④ 황의 연소 반응식 : S + O2 → SO2(아황산가스) 아황..
위험물 - 황화인, 적린 황화인 세 종류가 있으며, 미립자는 기관지 및 눈을 자극한다. ① 삼황화인 (P2S5) ㉮ 융점은 172.5℃ 로 황색을 띤다. ㉯ 물, 염산, 황산에 녹지 않으며, 끓는 물에서 분해한다. ㉰ 질산, 알칼리, 이황화탄소에 녹는다. ㉱ 과산화물, 과망가니즈산염, 금속분과 공존하고 있을 때 자연발화한다. ㉲ 연소 반응식 P4S3 + 8O2 → 2P2O5(오산화인) + 3SO2(이산화황) ② 오황화인 (P2S5) ㉮ 융점은 290℃ 이고, 담황색 결정으로 조해성이 있는 물질이다. ㉯ 이황화탄소(CS2)에 잘 녹는다. ㉰ 물, 알칼리와 분해하여 유독성인 황화수소(H2S), 인산(H3PO4)이 된다. ㉱ 물과 분해 반응식 P2S5 + 8H2O → 5H2S(황화수소) + 2H3PO4(인산) ③ 칠황화인(P4S7) ..
위험물 - 제2류 위험물 (가연성 고체) ① 정의 고체로서 화염에 의한 발화의 위험성 또는 인화의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고시로 정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 암기 TIP : 황적유백(100kg), 철금마오(500kg), 인고천(1,000kg) ② 공통 성질 ㉮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착화가 쉬운 가연성 (환원성) 고체이다. ㉯ 연소 속도가 빠른 고체 (이연성, 속연성) 이다. ㉰ 분진폭발의 우려가 있다. (하한 25~45mg/L, 상한 80mg/L) ㉱ 연소 시 유독가스를 발생하는 것도 있다. ㉲ 철, 마그네슘, 금속분은 물 또는 산과 접촉 시 발열한다. ※ 분진 폭발의 위험성이 없는 것 : 돌가루, 석회가루, 시멘트 등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점화원으로부터 멀리하고 가열을 피한다. ㉯ 용기의 파손으..
위험물 - 과망가니즈산염류, 다이크로뮴산염류 과망가니즈산염류 (1,000kg / 위험등급 Ⅲ) ① 과망가니즈산칼륨 (KMnO4) ㉮ 분해온도는 240℃, 비중은 2.7이다. ㉯ 물에 녹아 진한 보라색을 띠고 강한 산화력과 살균력(수용액은 무좀 등의 치료제로 쓰인다)을 갖는다. ㉰ 흑자색의 결정으로 염산과 반응 시 유독한 염소(Cl2) 를 발생시킨다. ㉱ 분해 반응식 2KMnO4 → K2MnO4(망가니즈산칼륨) + MnO2(이산화망가니즈) + O2(산소) ② 과망가니즈산나트륨 (NaMnO4 · 3H2O) · 과망가니즈산칼슘 (Ca(MnO4)2 · 4H2O) 과망가니즈산칼륨과 비슷한 성질을 갖는다. [예제문제] 과망가니즈산칼륨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황산과 격렬하게 반응한다. ② 유기물과 혼합 시 위험성이 증가한다. ③ 고온으로 가열..
위험물 - 아이오딘삼염류, 삼산화크로뮴 아이오딘산염류 (300kg / 위험등급 Ⅱ) 염소산염류, 브로민산염류보다 안정하지만 산화력이 강하고 탄소 등 유기물과 섞어서 가열하면 폭발한다. ① 아이오딘산칼륨 (KlO3) ㉮ 융점(560℃) 이상으로 가열하면 산소(O2)를 방출한다. ㉯ 가연물과 혼합하여 가열하면 폭발한다. ② 아이오딘산칼슘 (Ca(IO3)2 · 6H2O) ㉮ 융점 42℃ 이며, 무수물의 융점은 575℃ 이다. ㉯ 조해성 결정으로 물에 녹는다. [예제문제]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지정수량이 50kg인 것은? ① KMnO4 ② KClO2 ③ NaIO3 ④ NH4NO3 정답 : ② 삼산화크로뮴 (CrO3, 300kg / 위험등급 Ⅱ) ① 무수크로뮴산이라고도 하며, 비점은 250℃ 이다. ② 암적색의 침상결정으로 물에 잘 녹으며, 독성이 강하..
위험물 - 브로민산염류, 질산염류 브로민산염류 (300kg / 위험등급 Ⅱ) 염소산염류와 성질이 비슷하고 가열하면 분해하여 산소를 발생한다. ① 브로민산칼륨 (KBrO3) ㉮ 백색의 능면체의 결정 또는 결정성 분말로 융점은 350℃, 비중은 3.26이다. ㉯ 물에 잘 녹으며, 가연물과 혼합되어 있으면 위험하다. ㉰ 370℃에서 열분해 반응식 2KBrO3 → 2KBr(브로민화칼륨) + 3O2(산소) ② 브로민산나트륨 (NaBrO3) ㉮ 무색결정이며 물에 잘 녹는다. ㉯ 융점은 381℃, 비중은 3.3이다. [예제문제] 소화약제로 사용할 수 없는 물질은? ① 이산화탄소 ② 인산이수소암모늄(제1인산암모늄) ③ 탄산수소나트륨 ④ 브로민산암모늄 정답 : ④ 질산염류 (300kg / 위험등급 Ⅱ) 일반적으로 조해성이 풍부하며, 폭약의 원료로 쓰이는..
위험물 - 무기과산화물 무기과산화물 (50kg / 위험등급 Ⅰ) 무기과산화물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은 물과 접촉하여 발열과 함께 산소가스를 발생하므로 주수소화가 적합하지 못하고 (다른 제1류 위험물은 주수소화가 일반적이다) 마른모래, 암분, 탄산수소염류 분말소화제 등을 사용한다. ① 과산화나트륨 (Na2O2) ㉮ 융점은 460℃ 이고, 순수한 것은 백색의 정방정계 분말이다. ㉯ 일반적인 것은 황백색의 정방정계 분말로 에틸알코올(에탄올)에 잘 녹지 않는다. ㉰ 가연물과 혼합되어 있는 경우 마찰 또는 약간의 물의 접촉으로 발화한다. ㉱ 반응식 · 물과 반응식 2Na2O2 + 2H2O → 4NaOH(수산화나트륨) + O2(산소) · 가열분해 반응식 2Na2O2 → 2Na2O(산화나트륨) + O2(산소) · 탄산가스와 반응식 2Na..
위험물 - 과염소산염류 일반적으로 염소산염류보다 안정하다. ① 과염소산칼륨(KClO4) ㉮ 융점 및 발화(착화)점은 400℃이고, 무색 무취의 사방정계 결정이다. ㉯ 물에 녹기 어렵고 알코올, 에테르에 불용이며 진한 황산과 접촉 시 폭발한다. ㉰ 인, 황, 탄소, 유기물 등과 혼합 시 가열, 충격, 마찰에 의하여 폭발한다. ㉱ 수산화나트륨과는 안정하고, 400℃에서 분해가 시작되어 600℃에서 완전 분해된다. ㉲ 분해 반응식 KClO4 → NaCl(염화칼륨) + 2O2(산소) ② 과염소산나트륨(NaClO4) ㉮ 융점은 482℃ 이고, 무색 무취의 조해되기 쉬운 결정이다. ㉯ 철제용기에 사용을 금한다. ㉰ 물, 에틸알코올, 아세톤에 잘 녹고 에테르에 녹지 않는다. ㉱ 분해 반응식 NaClO4 → NaCl(염화나트륨) + 2O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