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누설경보기
개요 1) 가스누설경보기란 가스시설이 설치된 장소에서 액화석유가스(LPG), 액화천연가스(LNG), 일산화탄소(CO) 또는 기타 가스 (이소부탄, 메탄, 수소)를 탐지하여 경보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탐지소자 외의 방법에 의해 가스가 새는 것을 탐지하는 것, 점검용으로 만들어진 휴대용 검지기 또는 연동기기에 의하여 경보를 발하는 것은 제외한다. 2) 즉 LPG, LNG, CO 등 가연성가스의 누설, 체류를 탐지하여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를 발함으로써 가스폭발이나 화재 를 방지하고 또는 유독가스로 인한 중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설치대상 1) 보일러가 설치된 장소 2) 가스시설의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 중 (1) 판매시설, 운수시설, 노유자시설, 숙박시설, 창고시설 중 물류터미널 (..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1) - 적용대상물, 소화약제량 계산, 기동장치, 분사헤드
개요 (1) 물리적 성질 상온, 상압에서 기체로 존재함. 1.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이며, 소화 후 잔여물이 남지 않음 2. 확산속도가 빠르고 침투성이 우수함 3. 저장안전성이 높아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고, 폭발방지 효과가 있다. (2) 종류 ①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불소(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 ②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또는 질소(N2)가스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 (3)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특징 ① 브롬(Br)과 요오드(I) 대신 불소(F)나 염소(Cl)를 사용한다. > 브롬과 요오드가 포함된 소화약제 : 주된 소화효과는 억제소화(=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3) - 저장량, 기동장치, 분사헤드, 호스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등
소화약제의 저장량 (1) CO2 농도의 기본 개념 ① 실내의 CO2 가스량(무유출, No efflux) CO2 방사 전 실내 산소농도가 21%이며, 방사 후 실내 산소 농도가 감소되며 이를 O2(%)라 하면, 이때 방사 전 산소의 체적= V * 21(%), 방사 후 산소의 체적 = (V+x)*O2(%)가 된다. 여기서, Q : 방호구역 내 방사한 CO2 체적(㎥) O2 : CO2 방사 후 실내의 산소농도(%) V : 방호구역의 부피(㎥) 예제 1. 체적이 200㎥인 방호구역에 전역방출방식의 CO2를 방사하였을 때 산소의 설계농도가 15%였다. 이때 방사된 CO2의 체적은 얼마인가? 풀이 ② 소화약제 방사 후 실내의 CO2 가스량(무유출, No efflux) 여기서, C : CO2 방사 후 CO2 실내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