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소방

(24)
소방관계법규(2) - 소방장비 및 소방용수시설 등 시작하기에 앞서 소방관계법규는 양이 워낙 방대해 여러 챕터로 올린다는 점. 시험에 자주 출제되거나 문제를 꼬아서 낼 확률이 높은 지문들을 다루기에 자세한 지문들이 생략된다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 구별 ※ 행정안전부령(=시행규칙) 대통령령(=시행령) 제8조 [소방력의 기준 등] ① 소방기관이 소방업무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 등[이하 소방력]에 관한 기준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한다. ② 시·도지사는 소방력의 기준에 따라 관할구역의 소방력을 확충하기 위하여 필요한 계획을 수립, 시행하여야 한다. ③ 소방자동차 등 소방장비의 분류·표준화와 그 관리 등에 필요한 사항은 따로 법률로 정한다. 제9조 [소방장비 등에 대한 국고보조] ① 국가는 소방장비의 구입 등 시·도의 소방업무에 필요한 경비의 일부..
분말소화설비(1) - 개요, 소화작용, 특징, 계통도 개요 (1) 분말소화설비란 수계소화설비로 적용하기 어려운 유류화재(B급) 또는 위험물을 저장 취급하는 장소 및 전기설비 등 절연성 이 요구되는 소방대상물에 소화에 효과가 있는 약제를 가스 압력을 이용하여 분말상의 형태로 방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설 비이다. (2) 분말소화약제는 부촉매효과를 바탕으로 빠른 소화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냉각 효능이 부족하여 재발화 위험이 크며, 분말의 가라앉는 성질 때문에 입체 화재에도 적응성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분말약제를 미세화하여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연쇄 반응 억제효능을 높이고 짧은 시간에 불꽃 규모보다 높은 방사율로 방사하면 소화성능이 극대화되어 불꽃이 순식간에 사그 라들면서 소화가 되는데 이러한 소화작용을 Knock down이라 하며, 일정시간이 초과 되면 소화가..
피난구유도등, 통로유도등, 객석유도등(1) - 설치 장소, 규격 및 형태, 설치 기준 개요 1) 유도등은 화재 시 건물 내의 거주자가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피난구 또는 피난방향을 안내하는 장치이다. 2) 유도등은 상용전원이 정전되면 비상전원으로 자동절환(≠자동점등)되어 점등되어야 한다. 여기서 자동절환점등은 평상시에 켜져있는 상태이고, 비상시에 상용전원이 꺼지면 켜지는 구조이다. 3) 사용 장소에 따라 피난구유도등, 통로유도등, 객석유도등으로 분류한다. 4) 유도등은 항상 점등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신뢰성 확보를 위해 2선식 배선이 원칙이나 에너지 절감이나 등기구 수명의 연장 및 효율화를 위해 특정 장소에 3선식 배선도 사용이 가능하다. 허나 3선식 배선은 권장하지 않는다.. 5) 피난유도선은 햇빛이나 전등불에 따라 축광(ex. 야광스티커)(축광방식)하거나 전류에 따라 빛을 발하는 ..
가스누설경보기 개요 1) 가스누설경보기란 가스시설이 설치된 장소에서 액화석유가스(LPG), 액화천연가스(LNG), 일산화탄소(CO) 또는 기타 가스 (이소부탄, 메탄, 수소)를 탐지하여 경보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탐지소자 외의 방법에 의해 가스가 새는 것을 탐지하는 것, 점검용으로 만들어진 휴대용 검지기 또는 연동기기에 의하여 경보를 발하는 것은 제외한다. 2) 즉 LPG, LNG, CO 등 가연성가스의 누설, 체류를 탐지하여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를 발함으로써 가스폭발이나 화재 를 방지하고 또는 유독가스로 인한 중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설치대상 1) 보일러가 설치된 장소 2) 가스시설의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 중 (1) 판매시설, 운수시설, 노유자시설, 숙박시설, 창고시설 중 물류터미널 (..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1) - 적용대상물, 소화약제량 계산, 기동장치, 분사헤드 개요 (1) 물리적 성질 상온, 상압에서 기체로 존재함. 1.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이며, 소화 후 잔여물이 남지 않음 2. 확산속도가 빠르고 침투성이 우수함 3. 저장안전성이 높아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고, 폭발방지 효과가 있다. (2) 종류 ①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불소(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 ②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또는 질소(N2)가스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 (3)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특징 ① 브롬(Br)과 요오드(I) 대신 불소(F)나 염소(Cl)를 사용한다. > 브롬과 요오드가 포함된 소화약제 : 주된 소화효과는 억제소화(=부..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 누전경보기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 개요 1) 비상경보설비는 감지기에 의해 화재를 탐지하는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적용되지 않는 소규모 소방대상물에서 화재가 발생 했을 경우 수동으로 발신기를 작동시켜 통보장치인 경종 또는 사이렌으로 거주자에게 경보하여 피난 및 초기 소화활동 등 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설비로서 종류에는 비상벨, 자동식 사이렌이 있다. 2) 단독경보형감지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적용되지 않는 소규모 소방대상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화재발생 상황을 단독으로 감지하여 자체에 내장된 음향장치로 경보하는 감지기를 말한다. 설치대상 및 설치면제 1) 설치대상 설비종류 설치대상 비상경보설비 1. 연면적 400㎡ 이상인 것 (터널 제외) 2. 지하층 또는 무창층 바닥면적이 150㎡ (공연장 100㎡) 이상인 ..
할론소화설비(1) - 종류, 저장용기, 소화약제, 저장량 개요 할론소화설비의 주요 구성요소는 이산화탄소소화설비와 거의 유사하며 약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할론 소화약제 를 사용하여 화재의 연소반응을 억제함으로서 소화하는 설비로서 본 소화약제는 당초 항공기 엔진의 화재를 소화할 목적으로 개발 되었다. 할론소화약제란 지방족 포화탄화수소의 분자 중에 존재하는 수소원자들 중 하나 이상의 할로겐족 원소 F(불소), Cl(염소), Br(브롬), I(요오드)와 치환되어 생성된 물질 중 현실적으로 소화약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총칭하는 것을 말한다. 법령상 소화약제로 인정되는 것은 할론 1301, 할론 1211, 할론 2402의 3종류가 있다. (1) 할론소화설비의 소화원리 연소의 4요소 중 하나인 연쇄반응이란 화재 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OH+, H+ 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3) - 저장량, 기동장치, 분사헤드, 호스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등 소화약제의 저장량 (1) CO2 농도의 기본 개념 ① 실내의 CO2 가스량(무유출, No efflux) CO2 방사 전 실내 산소농도가 21%이며, 방사 후 실내 산소 농도가 감소되며 이를 O2(%)라 하면, 이때 방사 전 산소의 체적= V * 21(%), 방사 후 산소의 체적 = (V+x)*O2(%)가 된다. 여기서, Q : 방호구역 내 방사한 CO2 체적(㎥) O2 : CO2 방사 후 실내의 산소농도(%) V : 방호구역의 부피(㎥) 예제 1. 체적이 200㎥인 방호구역에 전역방출방식의 CO2를 방사하였을 때 산소의 설계농도가 15%였다. 이때 방사된 CO2의 체적은 얼마인가? 풀이 ② 소화약제 방사 후 실내의 CO2 가스량(무유출, No efflux) 여기서, C : CO2 방사 후 CO2 실내의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