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과 감지기의 분류와 형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자격증을 준비하신다면 꼭 알아두셔야 할 파트입니다.
경계구역
1) 개요
경계구역이란 자동화재탐지설비 1회선이 유효하게 화재의 발생을 탐지할 수 있는 구역으로 소방대상물을 일정한 면적과 크기로 제한시켜 설정한 감지구역을 말합니다.
2) 주의사항
1. 실내의 중앙을 피하고 복도, 통로, 방화구획 등을 경계선으로 한다.
2. 복도, 통로, 방화구획 등으로 설정한 경계구역 마다 경계선 및 번호를 부여한다.
3. 번호는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수신기가 가까운 장소에서 먼 장소로 부여한다.
4. 대형건물은 각 층별, 각 동별로 경계선 및 번호를 부여한다.
3) 경계구역의 설정 기준
경계구역은 크게 수평적 경계구역과 수직적 경계구역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1. 수평적 경계구역 : 하나의 경계구역은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않도록 할 것.
하나의 경계구역은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않도록 할 것. 단, 500㎡ 이하의 범위 안에서는 2개 층 가능.
하나의 경계구역은 600㎡이하로 하고 한 변의 길이는 50m 이하로 할 것.
출입구에서부터 내부 전체가 보이는 것(학교 강당, 체육관)은 한 변의 길이가 50m범위 내에서 1,000㎡이하
지하구는 길이 700m 이하로 할 것,
2. 수직적 경계구역 : 계단, 경사로(에스컬레이터 경사로 포함), 권상기실, 린넨슈트, 파이프피트 및 덕트 등은 별도로 경계구역을 설정한다.
하나의 경계구역은 높이 45m 이하로 할 것(계단 및 경사로).
지하층의 계단 및 경사로는 별도의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한다(지하 1층은 제외).
4) 고려 사항
1. 옥상 : 층수에 해당되지 않으나 경계구역 면적에 포함(600㎡ 당 1회로)한다.
2. 반자 : 층수에 해당되지 않으나 경계구역 면적에 포함(600㎡ 당 1회로)한다.
3. 계단 : 2개 층 이상에 미치지 않는다는 조항은 수직적 경계구역에는 맞지 않다.
4. 2개 층이 500㎡ 이하인 경우에도 발신기는 층별 설치
5. 외기에 면하여 상시 개방된 차고, 주차장, 창고 등 외기에 면하는 각 부분으로부터 5m 미만의 부분은 경계구역 면적에 산입하 지 않는다.
답을 내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풀이가 없이 답만 적어내면 고득점을 맞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문제를 풀기 전에 어떻게 작성하면 되는 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기준(근거)를 먼저 쫘르륵 작성한다.
ex. 수평적 경계구역 : ① 하나의 경계구역은 600㎡ 이하로 할 것.
수직적 경계구역 : ① 하나의 경계구역은 높이 45m 이하로 할 것.
2. 수식을 세우고 계산한다.
ex. 1층 : 수평적 경계구역의 ① 에 따라 ~ - 1경계구역
2층 : 수평적 경계구역의 ① 에 따라 ~ - 2경계구역
3층 : 2층과 동일 - 2층에서 산정
수직적 경계구역의 ① 에 따라 ~ - 1경계구역
3. 답을 작성한다.
이렇게 푸신다면 감점 없이 만점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문제예시]
1. 특고압 케이블이 포설된 송, 배전 전용 지하구의 길이가 다음과 같을 때 최소경계구역을 몇개로 구분해야 하는지 계산하시오.
해설 : 가운데에 있는 길이들을 전부 더해서 지하구의 경계구역 기준 길이로 나뉘어 주면 된다.
지하구 경계구역 : 지하구 길이 ÷ 700 = (800+900+1,300) ÷ 700 = 3,000 ÷ 700 = 4.2 ≒ 5개
(경계구역 산정 값이 소수점으로 나왔다면 무조건 올림처리한다)
2. 지하 3층, 지상 14층이고 각 층 높이가 3.5m인 다음과 같은 소방대상물에 수직경계구역을 설정할 경우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본 소방대상물에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직경계구역은 총 몇 개의 회로로 구분해야 하는지 쓰시오.
해설 : 엘리베이터 권상기실 - 2경계구역
계단 - 지상층(3.5m X 14층 ÷ 45 = 1.09 ≒ 2회로) + 지하층(3.5m X 3층 ÷ 45 = 0.233 ≒ 1회로)
총 회로 수 : 2 + 2 + 1 = 5경계구역
감지기
1) 개요 : 감지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 중 화재 초기단계에서 발생되는 열, 연기, 불꽃 등의 연소생성물을 검출하여 수신기에 통보하 고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를 발함으로서 피난을 신속하게 하고 초기소화 및 화재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이다.
2) 부착높이에 따른 감지기의 분류(감지기의 자세한 정보는 경보설비 편 참고!)
감지기 종류 | 설치높이(m) | ||||
4 미만 | 4~8 미만 | 8~15미만 | 15~20미만 | 20이상 | |
차동식 스포트형 | O | O | |||
차동식 분포형 | O | O | O | ||
정온식 스포트형 | O | 특/1종 | |||
정온식 감지선형 | O | 특/1종 | |||
보상식 스포트형 | O | O | |||
이온화식 | O | 1/2종 | 1/2종 | 1종 | |
광전식 스포트형 | O | 1/2종 | 1/2종 | 1종 | |
광전식 분리형 | O | 1/2종 | 1/2종 | 1종 | 아날로그방식 |
공기흡입형 | O | 1/2종 | 1/2종 | 1종 | 아날로그방식 |
열복합형 | O | O | |||
연기복합형 | O | O | O | O | |
열연기복합형 | O | O | |||
불꽃 감지기 | O | O | O | O | O |
주 1) 광전식 분리형 연기감지기는 아날로그 제품이 생산되지 않으므로 실제로 20m 이상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감지기는 공기흡입형과 불꽃 감지기이다.
이 표를 통해 불꽃 감지기의 성능이 제일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감지기의 형식
1) 축적형 감지기
(1) 개요 : 비화재보(경보를 할 필요가 없음에도 울림)를 방지하기 위해 감지기에 지연회로 또는 축적회로를 설치하여 일정이상의 온도, 연기가 계속될 때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발하는 장치.
(2) 작동원리 : 신호입력 → 축적개시 → 축적종료 → 연속신호 → 신호출력
연속신호 단계에서 일정 축적량을 넘기면 신호가 출력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신호입력 단계로 돌아와 축적하는 방식이다.
1. 축적시간 : 감지 후 화재신호를 발할 때까지의 시간(5~60초 이내)
2. 축적시간은 중계기, 수신기 축적시간의 유무에 따라 조절 필요
3. 공칭축적시간 - 10초 이상 60초 이내에서 10초 간격으로 표시
(3) 비화재보 적응성 감지기
1. 축적방식 감지기
2. 복합형 감지기
3. 아날로그방식 감지기
4. 다신호방식 감지기
5.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6. 분포형 감지기
7.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8. 불꽃 감지기
2) 다신호방식 감지기
(1) 개요
1. 감지원리는 동일하나 성능, 종별, 공칭작동온도, 공칭축적시간이 다른 감지소자의 조합이다.
2. 넓은 의미로는 복합형 감지기도 다신호식 감지기의 일종이다(복합형 OR회로).
3. 비화재보 방지가 주목적
3) 아날로그식 감지기
(1) 개요 : 아날로그방식 감지기는 검출, 발신기능은 감지기가, 판단기능은 수신기가 담당한다.
(2) 작동원리
1. 아날로그방식 감지기는 주위온도 또는 연기의 농도변화에 따라 각각 다른 전류 또는 전압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실시 간으로 검출된 온도 또는 연기농도에 대한 정보만을 수신기에 송출한다.
2. 화재인지는 수신기가 판단한다.
3. 개별정보의 송출을 위해 감지기마다 Address라는 고유의 주소기능을 가진 회로를 가지고 있다(=어디서 불이 났는 지 알 수 있다).
4. 대용량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다중통신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PC버전으로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소방전기시설 구조 및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난구유도등, 통로유도등, 객석유도등(1) - 설치 장소, 규격 및 형태, 설치 기준 (2) | 2023.05.26 |
---|---|
가스누설경보기 (2) | 2023.05.20 |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 누전경보기 (0) | 2023.05.03 |
경보설비 (0) | 2023.03.03 |